서민경제

2023년 귀속(2024년) 연말정산 달라지는 제도, 알고 미리 준비하세요.

골라이프 2023. 11. 7. 15:11

 

 

직장인이 한 해를 마무리하고 나면 연말정산을 반드시 거쳐야 합니다.

잘 준비한 사람에게는 13월의 월급이 되고, 방치하고 준비가 안된 누군가에게는 13월의 재앙으로 다가옵니다.

 

달라진 2024년(2023년 귀속) 연말정산의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2023년 연말정산 달라지는 것 제도


  2024년 (2023년 귀속) 연말정산

연말정산이란 직장인(근로자)들이 월급을 받으면서 원천징수로 납부한 세금에 대해, 1년 간의 총소득에 대해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적용한 후 차액을 돌려받거나 더 납부하는 과정입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받기 위한 증빙제출은 다음 해 1월에 진행하여, 직장마다 다르지만 2월 또는 3월에 정산이 이루어집니다.

 

2024년 1월에 실시하는 연말정산은 2023년 소득에 대해 적용하므로, 2023년 연말정산 또는 2023년 귀속 연말정산이라는 표현이 더 정확합니다.

 

연말정산 미리 보기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에서는 연말정산 미리 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현재까지 소득, 납부한 세금,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항목을 입력하여 추가로 더 공제받을 수 있는 항목과 금액을 확인하여 대비할 수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11월 1일부터 사용할 수 있으며, 회원가입과 로그인을 한 후에 간편하게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연말정산 미리 보기

 

 

 

  2024년 (2023년 귀속) 연말정산 달라지는 것

해마다 그랬듯이 2024년 1월에 시행하는 2023년 귀속 연말정산에도 달라지는 제도가 있으니 꼼꼼하게 챙기고 많이 환급받으시기 바랍니다.

정부가 2023년 7월에 발표한 세법개정안을 바탕으로 쓴 글이며, 최종 국회를 통과해야 결정되므로 일부는 바뀔 수도 있습니다.

정부가 제출한 소득세법 개정안의 내용을 확인하기 원하신다면 기획재정부에서 발표한 소득세법 개정안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소득세법 개정안 확인

 

고향사랑 기부금

2023년부터 지역의 균형발전과 고향의 발전을 위해 고향에 기부하는 "고향사랑 기부금" 제도가 시행되고 있습니다.

본인이 거주하고 있지 않은 고향 등의 지역에 기부를 하게 되면 1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10만원을 초과한 경우는 500만원 한도에서 15%를 세액공제를 적용합니다.

 

100만원을 기부하면 10만원 + 13만 5천원(90만원 x 15%) = 총 23만 5천원을 세액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지역마다 이렇게 기부해 주는 사람들에게 기부금의 30%까지 답례품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고려해 볼 만한 제도입니다.

 

신용카드 등 소득공제

현재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사용액, 현금영수증 발급액에 대해 소득공제가 각각 15%와 30%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문화비에 사용한 금액은 30%, 전통시장이나 대중교통 사용액은 40%의 소득공제가 이루어져 왔습니다.

 

4월 1일 이후부터 사용한 문화비에 대해서는 40%로 상향된 소득공제를 받은 수 있습니다.

전통시장 사용액도 4월 1일 사용한 금액에 대해서는 50%로 소득공제를 상향합니다.

 

또한, 대중교통비로 사용한 금액에 대해서는 기존의 40% 소득공제를 80%로 상향하여 적용하기 됩니다.

 

신용카드 등 소득공제 한도가 조정되어 연소득(총 급여) 7천만원 이하는 3백만원까지, 7천만원 초과는 2백만원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노동조합비 세액공제

직장의 노동조합에 소속되어 납부한 노동조합비에 대해 세액공제가 적용됩니다.

2023년 1월부터 9월까지 납부한 금액은 전액 세액공제다 이루어집니다.

10월부터 12월까지 납부한 금액은 15%의 세액공제가 이루어지고, 납부한 금액이 1천만원을 초과경우 초과분의 30%가 세액공제됩니다.

 

노동조합비의 세액공제는 노동조합의 인원 규모, 노동조합의 회계공시 여부에 따라 다르므로 이 제도를 상세하게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노동조합비 세액공제 제도

 

 

 

주택청약 소득공제

총 급여 7천만원 이하인 근로자에 대해 추택청약 납입금액의 240만원까지 공제해 주던 한도를 3백만원까지 소득공제를 적용합니다.

 

장기 주택저당 차입금 이자상환액 소득공제

무주택 또는 1 주택 근로자가 장기 주택담보(저당) 대출을 받아 납부한 이자에 대한 소득공제한도가 상향됩니다.

상환방식에 따라 다르지만, 3백만원 ~ 1천8백만원이었던 한도를 6백만원 ~ 2천만원으로 상향합니다.

 

영유아 의료비 등 세제지원

6세 이하 영유아의 의료비 세액공제가 기존 7백만원이던 한도를 폐지하여 전액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이 밖에 총 급여액 7천만원 이하인 근로에게 적용하던 산후조리비용 2백만원의 세액공제 제도를 모든 근로자에게 확대 적용합니다.

 

 

 

 

2024년 달라지는 제도 : 청년, 가족, 서민 경제, 사회적 약자

2024년은 2023년에 비해 우리 사회에서 많은 정책과 혜택들이 달라집니다. 정부에서 준비하고 시행 예정인 내용들을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2024년에 달라지는 정책과 제도를 4가지 부류로 나누

car-and-life.tistory.com

 

 

국민취업지원제도 지원 대상, 유형 및 신청 방법

국민취업지원제도는 취약계층의 안정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취업활동과 생계를 돕는 제도입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란? 국민취업지원제도는 취업을 원하는 국민에게 취업지원서비스를 제공

car-and-life.tistory.com

 

 

증여세 계산기 사용 방법, 1억 증여하면 증여세는 얼마?

증여세는 금전이나 재산적 가치가 있는 유무형의 자산을 누군가에게 대가를 받지 않고 주었을 때 그 재산가치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증여세 계산기를 이용해 얼마나 내야 하는지 미리

goal-life.tistory.com